영문법 현재완료 용법, 계속, 결과, 완료, 경험
have p.p.는 현재 지속이다.
영어의 "현재완료 시제" 즉 "have + p.p."는 거의 대부분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어떤 상황이 지속될 때" 쓴다.
1. 계속
I have know him for the last five years.
그와 5년전에 알아서 지금까지 쭉 알고 지내고 있다는 뜻이다. 즉 그를 알게 된 상호이이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have pp"를 썼다.
He has been dead (for) three years.
그는 3년 전에 죽은 상태가 되어서, 중간에 살아나거나 하지 않고 지금도 계속 죽은 상태로 있다는 말씀. 그래서 "have p.p."로 표현했다. 이게 전형적인 "have pp"이다.
영문법 현재완료 용법, 계속
2. 결과
I lost my book. "전에 잃어버렸어." 그래서 어떻게 되었는데?
I have lost my book. 전에 잃어버려서 지금도 못 찾았어. 상황 지속
"나 책 잃어버렸어"라는 한국말은 헷갈린다. 그래서 지금도 없는 건지, 앚니면 전에 잃어버렸지만 지금 찾았는지 알 수가 업다. 하지만 영어는 현재 완료가 있기 때문에 이런 혼동이 생겨나지는 않는다. have lost라는 현재완료를 쓰면 지금도 lose의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지금도 책을 못 찾았다는 뜻이 된다.
3. 완료
I have just finished it. 막 끝냈다.
It has stopped raining. 막 비가 멎었다.
방금 전이나 최근의 일은 과거라고 하기엔 너무 가깝고, 그렇다고 현재라고 하기엔 이미 지나간 일이라 어색하다. 이럴 때 과거와 현재를 메우는 "have p.p."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 용례는 소위 "현재 완료"의 대표적 용례가 될 수 없다. 방금 전에 어떤 상황이 완료된 경우에만 쓸 수 있는 지엽적인 용례이기 때문이다.
4. 경험
1) 경험은 과거 시제가 더 어울린다.
Have you ever seen the movie? (O)
Did you ever see the movie? (O)
영어는 과거의 경험을 물어볼 때도 "have p.p."를 이용한다. 그런데 과거의 경험이라면 과거로 쓰는 게 정상 아닌가? 따라서 현대 영어는 두 번째 예문처럼 그냥 과거 시제로 쓰기도 한다. 즉, 네이티브 스피커들도 "have p.p"를 접하면 "지속"을 우선 떠올린다는 점을 알 수 있다.
2) when 이하에서
When have you seen the movie? (X)
When did you see the movie? (O)
When으로 시작하는 의문문에서는 논리적으로 현재 완료가 나올 수 없다. when 자체가 현재 이전의 일을 가리킬 때는 "과거 특정 시점"일 수밖에 없지 않는가?
현재완료 용법, 계속, 결과, 완료, 경험을 알아보았으니 영문법 미래완료 시제, 과거완료 시제를 알아보자.